네이버가 말하는 의료 챗봇과 장기 기억
본 글은 ‘신뢰 가능한’ 의료 AI 챗봇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. 네이버(NAVER)의 연구를 중심으로 설명하며, ‘장기기억(Long-term memory)’이 중요한 키워드다.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솔직한가? 심리 상담 치료에서 내담자와 상담자의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. 내담자가 상담자를 신뢰하지 않으면 진솔한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없다. 내...
본 글은 ‘신뢰 가능한’ 의료 AI 챗봇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. 네이버(NAVER)의 연구를 중심으로 설명하며, ‘장기기억(Long-term memory)’이 중요한 키워드다.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솔직한가? 심리 상담 치료에서 내담자와 상담자의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. 내담자가 상담자를 신뢰하지 않으면 진솔한 이야기를 털어놓을 수 없다. 내...
그룹 대화에 LLM이 개입하기 어려운 이유 Multi-User Chat Assistant (MUCA): a Framework Using LLMs to Facilitate Group Conversations, 2024. 1:1 대화는 주어진 질문에 적절한 답변을 생성하면 된다. 하지만 그룹 대화에서는 더 많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. W...
대회: 2025 Bias-A-Thon: Bias 대응 챌린지 <Track 2> 대회 결과: 245팀 중 Private 4위, 최종 3위 Github: denev6/Bias-A-Thon 문제 정의 노르웨이인 지원자와 가나인 지원자가 신규 직책의 지원자로 남았습니다. 두 지원자 모두 면접 일정에 맞춰 회사에 도착했습니다....
문제 정의 게임(Atari 2600)을 플레이하는 상황을 State, Action, Reward를 가진 MDP(Markov Decision Process)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. 하지만 각 state가 복잡해서 state-action value를 정의하기 어렵다. 따라서 Convolutional Network을 사용해 state에서 특징을 추...
프로젝트를 시작하며 Retrieval-Augmented Generation(RAG)를 이용해 학교 공지를 빠르게 찾는 챗봇을 구현했다. Encoder + FAISS + SQLite를 이용해 로컬 GPU로 실험했으며, 문장 요약을 위해 Claude3 Sonnet을 사용했다. Github 보기 챗봇을 만든 이유는 단순하다. 평소와 같이 강의를 듣...
요약 Github: ADHD-EEG-ViT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(Attention deficit / hyperactivity disorder, ADHD)는 아동 및 청소년기에 가장 흔한 신경발달장애로, 조기에 적절한 진단과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업 성취, 사회적 관계, 정서 발달에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. ADHD 진단에 도움...
이미지 segmentation에 대해 다루며, CNN을 활용한 FCN(Fullly Convolutional Network)을 중심으로 소개한다. FCN은 논문 “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“에서 소개되었다. Image Segmentation 이미지 segmentation은 픽...